문화(여행.지리.풍속)

한라산, 한국에서 제일 높은 산

물 긷는 남자 2024. 11. 9. 06:05
반응형

한라산은 대한민국 제주도에 있는 방패 화산입니다. 정상은 1,947m(6,388피트)로 이 나라에서 가장 높은 지점입니다. 산 주변 지역은 한라산 국립공원이라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한라산은지리산 설악산과 함께 대한민국의 3대 명산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1966년 10월 12일 천연기념물 제128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름

 한라산 은 한글 로 한라산 ( 한라산 ) 처럼 표기 하지만 여전히 한라산 으로 발음 됩니다 . 과거 한라산은 부악 (釜岳) , 원산 ( 원산 /圓山), 진산 ( 진산 /鎭山), 선산 ( 선산 /仙山), 두무악 ( 두무악)  한국어로 여러 다른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頭無岳), 부라산 ( 부라산 /浮羅山), 영주산 ( 영주산 /瀛州), 혈망봉 (望峯). 

 

지리학과 지질학

한라산

한라산은 제주도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거대한 방패 화산으로, 종종 섬 자체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제주도는 한라산이고, 한라산은 제주다"라는 한국의 전통적인 속담이 있습니다. 이 산은 실제로 섬의 모든 곳에서 볼 수 있지만, 정상은 종종 구름에 가려져 있습니다.

한라산의 토양은 대부분 화산재 , 화산모래, 라필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남한의 다른 어떤 토양보다 높고배수도 남한의 다른 어느 곳보다 좋지만 토양은 비교적 비옥하지 않습니다.  화산 섬은 플리오세 시대에 시작하여 해수면 아래 약 100m(300피트)인 대륙붕에 건설되었습니다.  제주어로 오름이라고 하는 기생 원뿔이 화산 측면에 약 360개 있습니다. 가장 최근의 분출은 약 5,000년 전으로 추정되며 이는 화산을 활성 화산으로 분류하여 지난 10,000년 동안 분출했음을 의미합니다.

 

백록담

한라산에는 백록담(白鹿潭)이라는 분화구 호수가 있는데, 이는 "흰 사슴 호수"라는 의미입니다. 이 호수는 지하에서 마그마가 이동하여 능선의 꼭대기가 무너져 형성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내려와 흰사슴과 놀았던 저승의 남자들의 이름에서 호수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백록담의 동벽과 서벽의 구성암은 다르다. 동쪽 벽은 꼭대기가 2~5m(6피트 7인치~16피트 5인치) 두께의 현무암 용암으로 덮여 있다. 하부에는 탐라층의 고농도 하천 퇴적층이 있으며, 서쪽 벽은 조면암 용암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용암 분출로 형성된 화산벽은 용암으로 구성되어야 분석됩니다. 그러나 동쪽 벽은 쇄설성 퇴적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어 용암 분출에 의한 분화구가 아니라 구덩이 분화구입니다.  

한라산 풍향변화 경향

제주도의 기온변화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라산 단기예보모델과 한반도 기상자료, AWS의 풍향벡터를 분석하였다. 남풍이 바다로 유입되면 한라산 주변에서 해풍이 형성되고, 바다 하풍측에서는 해풍이 형성된다. 해안에서는 바람과 해풍이 해안 주변에 모여 지속적인 에디를 형성하며, 에디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기온이 나타난다.

 

한라산 최고기온 추이

 

제주도의 최고기온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바람이 약할 때 가장 높은 기온이 발생한 지역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역층이 형성되고 바람이 약할 때인 오전에는 상하층 사이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면서 하층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여 해풍에 의해 상층으로 올라오게 되며, 이는 중산간 지역의 기온 상승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바람이 약할 경우 온기가 중층에 축적되므로 중산간지역의 최고온도는 저고도 해안지역의 최고온도보다 약1~3℃(1.8~5.4℉), 하풍측은 4℃(7.2℉) 이상 높다. 

바람이 초당 4~9m(13~30ft/s)로 불 때 해안지역에는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약한 해풍이 형성되고 최고 기온은 주로 낮시간에 관측된다. 

한라산  최저기온 추이

최저기온 변화는 한라산의 냉각 정도와 풍속의 세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해풍이 우세하여 바람이 불면 한라산에서 냉각된 공기가 해안지역으로 하강하여 기온 저하를 유도한다. 종풍이 강하게 불면 한라산의 찬 공기가 하풍측으로 이동하면서 최저기온이 나타난다. 하풍측의 최저기온은 다른 지역보다 2~5℃(3.6~9.0℉) 낮으며, 최저기온은 주로 야간에 나타난다. 

약한 북서풍이 불면 제주도 동부지역은 저온이 발생하는데, 한라산 정상의 한기가 산맥을 따라 하강하여 제주도 동부지역에 모여 아침 기온이 상당히 떨어진다. 

 

                                                                                    한라산 일출

생태계

 

한라산은 오랫동안 육지와 고립되어 있어 그 종이 육지의 종과 독특하고 다르게 될 수 있었습니다. 산의 고도로 인해 다양한 식물 종이 그곳에 살고 있습니다. 산은 낮은 고도에서 사는 식물과 높은 고도에서 사는 식물의 서식지가 되었습니다. 제주도에는 50종 이상의 독특한 종이 살고 있으며, 특히 한라산의 고지대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동물 종도 산에 서식합니다. 산의 지형 때문에 같은 종이 수천 년 후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진화했습니다. 식물 종과 마찬가지로 원래 추운 기후와 더운 기후에 서식하는 동물 종은 산을 서식지로 사용합니다. 한라산을 서식지로 사용하는 조류는 총 160종이 있습니다. 천연기념물로 간주되어 정부에서 보호하는 종은 19종뿐입니다. 까마귀는 하이킹 코스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총 3,315종의 곤충이 산에 서식합니다. 254종의 거미도 그곳에 서식합니다. 거미 서식지는 산의 북쪽에 더 집중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진드기가 산에 서식하여 오래 전에 제주도 주민들에게 많은 피해를 입혔습니다. 진드기에 의한 피해는 계속되고 있다. 여섯 가지 진드기 종이 가축에게 문제를 일으킵니다.

 

산에는 섬에서 가장 오래된 불교사찰인 관음사가 있습니다. 이 사찰은 원래 고려 왕조1046-1083) 문종 때 지어졌습니다. 한국의 다른 많은 사찰과 마찬가지로 관음사는 1702년에 파괴되어 200년 동안 문을 닫았습니다. 이 사찰은 1908년에 재건되었습니다. 제주도에서 다시 불교를 전파합니다. 사찰 밖에는 1948년과 1950년 사이에 일어난 제주 봉기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관이 있습니다. 이곳 은 섬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 중 하나입니다.

이 산은 부처님의 유물을 보관하는 탑인 존자 암지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플로라

한라산은 세계화훼권에 따르면, 양쯔강 유역과 일본 남서부와 함께 온대아권에 속합니다. 해안에서 한라산 정상까지는 환경적 경사로 인해 아열대 식물에서 고산 식물까지 수직적으로 식물이 분포합니다. 한국에 자생하는 4,000여 종의 관다발식물 중 약 400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거나 잠재적으로 희귀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환경부에서 지정한 23종 특정 야생식물(총 59종)이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 6종이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제주도에는 약 50종의 특수식물이 분포하며, 특히 한라산 고지대에 분포합니다.

 

조류

제주도에는 조류 364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지나가는 조류 91종, 겨울철 조류 100종, 텃새 42종, 떠돌이 조류 43종이 서식하고 있다. 제주도 조류 중 철새 서식지와 해안지역에 서식하는 종을 제외하고 한라산을 중심으로 서식하는 조류는 160종이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종은 19종입니다.

돈내코 트레일

자동차로 돈내코 트레일에 가려면 제주시 아라운산 강, 탐라교육관, 천왕사를 연결하는 도로번호 1115를 이용해야 합니다. 제주시청에서 돈내코 관광안내소까지는 약 60분이 걸리고 서귀포시청에서는 약 25분이 걸립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서귀포시 버스 610-1을 타십시오. 이 버스는 하루에 6회만 충혼 묘지( 입구)로 운행합니다. 도보로 약 40~50분이 걸립니다.

 

관음사 코스

관음사 탐방로까지 차로 가려면 제주 아라동산과 탐라교육원, 천왕사를 잇는 1117번 도로를 이용해야 합니다. 제주시청에서 관음사 안내소까지는 약 25분, 서귀포시청에서는 약 50분이 소요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제주시 버스 475번을 타세요. 이 버스는 시내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제주대하교 입구에서 내려 환승해야 합니다 . 예전에는 주말과 공휴일에만 운행했지만 2017년 버스 노선 개편 이후 주중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제주시나 서귀포시로 가는 버스를 타야 한다면 가장 가까운 정류장은 5.16도로에 있는 제주의료원입니다. 도보로 약 40~50분이 소요됩니다. 이 버스는 20:20까지 운행합니다.

 

성판악 트레일

승용차로 성판악 탐방로를 가려면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잇는 1131번(또는 516번) 도로를 이용해야 합니다. 제주시청에서 성판악 탐방안내소까지는 약 30분이 걸립니다. 서귀포시청에서는 약 40분이 걸립니다. 대중 교통을 이용하려면 181, 182, 281번인 516번 도로를 이용하는 버스를 타세요. 이 버스들은 10~15분 간격으로만 오므로 접근성이 가장 좋은 노선은 이 노선입니다.

 

 

 

 

 

 

 

 

 

반응형